본문 바로가기

Network/[TCPIP]

[Network] TCP란?

반응형

-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

 

- 직역하면 "전송 제어 프로토콜"

 

 

- 여기서 프로토콜(Protocol)이란?

 

- 장치간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이다.

- 전송규약.. 규칙이 없으면 데이터를 보장할 수 없다..

- 그냥 친구한테 1234라고 보낸다고 해보자.

- 1234만 전달되는게 아니다.

- 길이는 4,  보내는이:나,  받는이:친구, 뭐 이런것들이 함께 있어야한다.

- 근데 규칙과 약속이 없으면,

 

- A라는 사람은 보내기 전에 

길이는 4, 받는이:친구, 보내는이:나

 

- B라는 사람은 보내기 전에 

보내는이:나, 받는이:친구,길이는 4

 

이런 순서로 보낸다면.. 통신이 될까?

그래서 있는 것이 프로토콜..

그중 하나가 TCP다.

 

 

- TCP는 네트워크 계층 중 전송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 장치들 사이에 논리적인 접속을 성립시키기 위해 연결을 먼저 설정한다.

- 연결형 프로토콜이다(비 연결형 프로토콜은 UDP)

- IP와 함께 사용되며, TCP/IP라는 명칭으로 널리 사용됨

(* IP는 상대방의 주소를 알려주고, TCP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TCP 의 특징

- 연결을 성립할 때 3-way handshake 

rangsub.tistory.com/32

 

[Network] 3-way handshake이란? (TCP Connection)

- TCP 프로토콜에서 장치 간 연결을 성립시킬 때 사용하는 기법. - TCP는 정확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했다. - 그 안전함의 과정 중 첫 번째 단계이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되는

rangsub.tistory.com

- 연결을 종료할 때 4-way handshake

 

-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 인터넷에 적합

- 일련의 옥텟(8개의 비트가 모여 만드는 데이터 단위. 요즘은 1byte가 8비트다)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다.

-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의 RFC 793에 정의되어 있음.

- 웹 브라우저들이 월드와이드 웹에서 서버에 연결할 때 사용되며, 이메일 전송이나 파일 전송에도 사용된다.

-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 전이중, 점대점 방식이다.

--> 전이중 : 전송이 양방향으로 동시에 발생가능

--> 점대점 : 각 연결이 정확히 2개의 종단점 가짐

 

반응형

'Network > [TCP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3-way handshake이란? (TCP Connection)  (0) 2021.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