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는 초기에 미닉스의 파일시스템을 사용했으나 곧 ext 파일 시스템으로 알려진 리눅스 고유의 파일시스템을 만들어 사용함.
ext : 레미 카드가 1992년 개발하였다.
ext2: 레미 카드가 1993년 개발하였다.
ext3: 스티븐 트위디가 2001년 개발.
ext4: 밍밍카오, 안드레 딜거, 렉스 주라블레프, 데이브 클레이캠프, 테오도어 츠오, 에릭 샌딘, 샘나그시네등이 2008년 개발
XFS: 실리콘 그래픽스라는 회사가 2000년 개발
디스크 관리
1. 디스크 사용량 관리 : df명령
디스크의 남은 공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파일 시스템 장치명
파일 시스템의 전체 용량,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
등을 나타낸다.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
전원 ON -> 바이오스 단계 -> 부트로더 단계 -> 커널 초기화 단계 -> systemd 서비스 단계 -> 로그인 프롬프트 출력
1. 바이오스 단계 : ROM 에 저장되어 있는 바이오스가 호출된다. IO들의 상태 확인하고, 부팅 장치를 선택하여 부팅 디스크의 첫 섹터에서 512바이트(마스터 부트 레코드, MBR) 를 로딩한다.
메모리에 로딩된 MBR은 부트로더를 찾아 메모리에 로딩하는 작업까지 수행
2.부트로더 단계 : 운영체제 중에서 부팅할 운영체제 선택한다.
리눅스 커널을 메모리에 로딩하는 것도 한다.
리눅스 커널은 /boot 디렉터리 아래에 vmlinuz-버전명 의 형태로 존재함
리눅스의 대표적인 부트로더는 GRUB이다.
3.커널 초기화 단계 : 부트로더에 의해 메모리에 로딩된 커널은
(1)시스템에 연결된 메모리,
(2)디스크
(3)키보드, 마우스 등
의 장치를 검사한다. 최초 설치시 이 정보들이 저장이 되며, 이 정보들을 하나하나 검사/초기화 작업을 한다.
이후 fork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프로세스/쓰레드 생성을 한다.
4.systemd 서비스 단계 : 이 단계부터는 리눅스가 실제로 동작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됨. 기존에는 init스크립트 라는 것을 수행했다고 한다. 부팅 화면에서 Alt+d 를 누르면 이 init단계의 로그를 볼 수 있다.
systemd 서비스에 대해.
systemd는 리눅스의 시스템과 서비스 관리자로서의 유닉스의 init 프로세스가 하던 작업을 대신 수행한다.
다양한 서비스 데몬을 시작하고, 프로세스의 상태를 유지하며, 시스템 상태를 관리한다.
1.init프로세스 : init프로세스는 PID가 1번인 프로세스이다. 모든 프로세스의 조상 역할을 함
패키지 관련
dnf :패키지를 자동으로 설치해줌. 원래는 rpm 명령이 있었으나, 이는 패키지 의존성문제가 있다. 패키지마다 의존 관계를 일일이 확인해야하기 때문이다.
우선 패키지 repository가 어떤것들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dnf repolist
httpd서버 설치해보기
dnf install httpd
하면 설치하라고 나옴.
rpm -ql httpd
하면, 설치된 내역이 엄청 많이 나온다.
이후
systemctl start httpd
입력하면 서버가 실행됨
'DevOp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AWS EC2 file / directory 를 로컬로 옮기기 (0) | 2022.10.13 |
---|---|
[Linux] Ububtu Iptables 이용하여 Port Redirect하기(PREROUTING) (0) | 2021.12.20 |
[인프라 기초] CentOS 실습해보기 -3 (프로세스 관리) (0) | 2021.02.19 |
[인프라 기초] CentOS 실습해보기 -2 (0) | 2021.02.18 |
[인프라 기초] CentOS 실습해보기-1 (0) | 2021.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