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VMWare와 CentOS설치
리눅스 표준디렉터리
디렉터리 |
파일 속성 |
/bin |
사용자가 실행시킬 수 있는 명령의 실행 파일 |
/boot |
부팅 중 사용되는 커널과 기타 부팅에 필요한 파일 |
/dev |
각종 장치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장치 파일(리눅스는 USB, RS232, Network등 연결을 파일로 관리) |
/etc |
리눅스 시스템 환경설정과 관련된 파일 |
/home |
사용자의 이름으로 된 서브 디렉터리(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존재 |
/lib |
프로그램 개발이나 실행시 필요한 라이브러리 |
/sbin |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명령, root 관리자만 이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음 |
/var |
다양한 유틸리티에서 사용하는 로그 파일이나 사용자 메일 등 서버 운용 시 생성되거나 추가되는 파일 보관 |
bin폴더 탐색해보기.
ls 날려보면.. 명령어들이 들어있다.
약 1600개가 들어있는데 우리는 한 20개정도만 알면 된다.
dev폴더 탐색해보기.
터미널의 시작과 종료
종료 방법에는 2가지가 있음
마우스로 터미널 끄기,
exit 명령어
리눅스는 멀티 스크린 기능이 있다.
ctrl + alt + F1~F6이 있다.
grep 명령어가 있다.
정규 표현식 사용하여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 찾아내는 명령어
grep ^root /etc/passwd(사용자 정보 파일에서, 관리자(root)계정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때
root:x:0:0:root:/root:/bin/bash
프롬프트 기호와 홈 디렉터리
프롬프트
-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기다리는 표시
- 사용하는 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 bash셀 => $
- 시스템관리자 => #
홈 디렉터리
user1@localhost:~ :
- user1 은 사용자 계정 이름
- localhost 는 호스트 이름,
- ~는 user1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는 사용자 계정을 등록할 때 결정
- 홈 디렉터리 아래에 자신이 원하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하며 작업할 수 있음
명령의 구조
명령 [옵션] [인자]
명령 :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다양한 명령은 date, man, ls , cp, mv 등 수백가지가 있다.
옵션 : 옵션을 사용하여 명령의 세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옵션은 보통 -나 --로 시작한다.
인자 : 명령으로 전달되는 값
date, clear, man 명령어
date : 현재 날짜와 시간을 출력
clear : 화면을 지운다.
man 명령 : 리눅스가 제공하는 각종 명령의 사용법을 보여준다.
예시 : clear 명령어의 사용법
pwd 명령 :
현재 내가 어디있는지 경로 확인가능
backup파일 생성하기
- 웹 서버 운영 시 파일들을 백업 관리해야함. 백업된 파일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이 파일명에 백업 받은 날짜를 표기함.
backup20210218.tar.gz
- 이 방법은 앞서 살펴본 date명령의 Format Directive를 이용하면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한번 ls 명령의 수행 결과를 YYYYMMDD 형식의 파일에 저장해보자
date +%Y%m%d ==> 20210218
today=$(date +%Y%m%d) ==> $today 를 이제 date +%Y%m%d이걸로 쓰겠다..
echo $today ==> 20210218
ls > backup$today ==> 파일이 생성된다. backup20210218 이라는 파일이다.
'DevOp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AWS EC2 file / directory 를 로컬로 옮기기 (0) | 2022.10.13 |
---|---|
[Linux] Ububtu Iptables 이용하여 Port Redirect하기(PREROUTING) (0) | 2021.12.20 |
[인프라 기초] CentOS 실습해보기 -4(파일시스템,dnf) (0) | 2021.02.19 |
[인프라 기초] CentOS 실습해보기 -3 (프로세스 관리) (0) | 2021.02.19 |
[인프라 기초] CentOS 실습해보기 -2 (0) | 2021.02.18 |